세계 각국이 출구전략 시행의 일환으로 정책금리를 올리고 있다. 여러가지 이유들이 있지만 그 이유는 매우 간단하다. 2nd Great Depression 우려까지 야기했던 금융위기로 인한 경기 급락을 막기 위해 풀었던 돈을 이제는 그 우려도 완화되었고 그런 극단적인 상황까지는 가지 않을 것 같으니 풀었던 돈을 회수하자는 것이다. 물론 중앙은행이 해야할 가장 중요한 목표인 물가안정을 해칠 수 있는 전조들이 주변에서 보이기 시작한 것도 정책금리 인상의 중요한 이유이다.
먼저 정책금리 인상이 단발성일 경우, 즉, 한 두번 정도에서 끝나는 경우는 정책금리 인상이 시중 금리에 크게 영향을 미치지 못하지만, 인상이 consistency를 가질 경우에는 단기 금리가 기계적으로 정책금리와의 스프레드를 유지하면서 상승하는 반면 장기물은 덜 오르거나 오히려 하락는 모습을 보여주기도 한다. 따라서 인상이 마무리 되는 국면에서는 장단기 금리가 축소되고 오히려 역전되는 모습도 보여주는데 이는 중장기 금리가 정책 보다는 경제 펀더멘탈의 영향을 더 많이 받기 때문이다.
아래의 그림은 2004년 1월부터 2006년 6월까지의 미국 Fed fund rate과 미국채 2년, 10년의 움직임이다. 1%의 fed rate이 5.25%까지 꾸준히 상승하는 동안 10년 국채의 경우 4~5% 박스권에서의 움직임을 보여주었고, 평균 4.38%, 표준편차 32bp로 상당히 스테이블한 움직임을 시현하였으나 2년 국채는 2% 아래에서 10년 국채의 금리를 상회하는 수준까지 상승하였고 통계상으로는 100bp 이상의 변동성을 보여주었다.
미국의 사례이기는 하지만 한국 채권시장에도 유사하게 적용할 수 있을 여지가 크다. 따라서 한국의 정책금리 인상이 향후 지속된다면 단기 영역의 금리는 지속적으로 상승할 수 있겠지만 중장기 영역 금리 인상폭은 제한적일 것으로 예상된다. 단, 향후 성장률에 대한 긍정적 전망이 이어질 경우 중장기 금리 상승 가능성도 열려있다고 판단됨에 따라 롱 듀레이션을 네이키드로 매수하는 것 보다는 Spread 축소를 염두에 둔 매매전략이 유효할 것으로 판단한다.
먼저 정책금리 인상이 단발성일 경우, 즉, 한 두번 정도에서 끝나는 경우는 정책금리 인상이 시중 금리에 크게 영향을 미치지 못하지만, 인상이 consistency를 가질 경우에는 단기 금리가 기계적으로 정책금리와의 스프레드를 유지하면서 상승하는 반면 장기물은 덜 오르거나 오히려 하락는 모습을 보여주기도 한다. 따라서 인상이 마무리 되는 국면에서는 장단기 금리가 축소되고 오히려 역전되는 모습도 보여주는데 이는 중장기 금리가 정책 보다는 경제 펀더멘탈의 영향을 더 많이 받기 때문이다.
아래의 그림은 2004년 1월부터 2006년 6월까지의 미국 Fed fund rate과 미국채 2년, 10년의 움직임이다. 1%의 fed rate이 5.25%까지 꾸준히 상승하는 동안 10년 국채의 경우 4~5% 박스권에서의 움직임을 보여주었고, 평균 4.38%, 표준편차 32bp로 상당히 스테이블한 움직임을 시현하였으나 2년 국채는 2% 아래에서 10년 국채의 금리를 상회하는 수준까지 상승하였고 통계상으로는 100bp 이상의 변동성을 보여주었다.
미국의 사례이기는 하지만 한국 채권시장에도 유사하게 적용할 수 있을 여지가 크다. 따라서 한국의 정책금리 인상이 향후 지속된다면 단기 영역의 금리는 지속적으로 상승할 수 있겠지만 중장기 영역 금리 인상폭은 제한적일 것으로 예상된다. 단, 향후 성장률에 대한 긍정적 전망이 이어질 경우 중장기 금리 상승 가능성도 열려있다고 판단됨에 따라 롱 듀레이션을 네이키드로 매수하는 것 보다는 Spread 축소를 염두에 둔 매매전략이 유효할 것으로 판단한다.
'채권ABC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만기수익률(YTM) (1) | 2010.08.02 |
---|---|
성장률 베타 (0) | 2010.07.30 |
공매도(Short Sale) (0) | 2010.07.22 |
Spread Strategy의 개념 (0) | 2010.07.21 |
수익률 곡선 타기(Riding the yield curve) (2) | 2010.07.21 |